12:50-13:00 | 개회사 유주형 ((사)GeoAI데이터학회 회장) |
13:00-13:10 | 시상식 - 기술상, 공로상 |
13:10-13:50 | 초거대AI 정책 방향 및 주요 사업 유호진 (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지능데이터본부 AI데이터사업팀 팀장) |
13:50-14:30 | 조선의 다빈치, 정약용 최태성 (별별한국사 역사커뮤니케이터) |
15:00-15:15 | Semantic Segmentation of Arctic Sea Ice in KOMPSAT-5 SAR Imagery Using ResNet-FPN and PointRend 김승희 (극지연구소) |
15:15-15:30 | 부이를 이용한 해빙상에서의 해파 감쇄 관측과 원격탐사적 접근 박정원 (극지연구소) |
15:30-15:45 | 그린란드 러셀빙하 무인기 라이다 및 사진 자료 기반 지형 변화 관측 연구 정용식 (극지연구소) |
15:45-16:00 | 원격탐사 및 현장조사 기반 그린란드 빙하 용융수에 기인한 하천수의 퇴적작용 및 수질 특성 분석 유재형 (충남대학교) |
16:00-16:15 | Season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Glacier Velocity of the Nathorstbreen Glacier System, Svalbard Supratim Guha (극지연구소) |
16:15-16:30 | 질의 응답 |
15:00-15:15 | 지구관측위성 발전과 GeoAI 활용 이광재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
15:15-15:30 | SAR 위성영상 및 SHP(Statistically Homogeneous Pixel) 산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도심지 변화탐지 양희인 (㈜컨텍) |
15:30-15:45 | 위성영상 기반 농촌공간계획 지원도구 시범 개발 오관영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
15:45-16:00 | Land Subsidence Susceptibility Mapping in Jakarta, Indonesia using Multi-Temporal SAR Data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Wahyu Luqmanul Hakim (강원대학교) |
16:00-16:15 | 토지피복분류 학습자료에 내재된 오류 영역의 자동 검사 분류모델 성능개선에 대한 연구 장재영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
16:15-16:30 | 질의 응답 |
15:00-15:15 | Sentinel-1 수체 탐지를 위한 기울기 희소성 최적화 기반 스페클 감소 기법의 개발 윤동현 (한국수자원공사) |
15:15-15:30 | 다중플랫폼, 다중주파수 영상레이더 위상간섭기법 기반 지표변위 관측 연구 홍상훈 (부산대학교) |
15:30-15:45 | AI 기반 위성정보의 환경분야 활용 방안 - 토지피복을 중심으로 - 이명진 (한국환경연구원) |
15:45-16:00 | 인공지능을 활용한 SAR영상 Style transfer 기술 이선주 (㈜에스아이에이) |
16:00-16:15 | Sentinel-1 영상으로부터 Attention U-Net을 활용한 한반도 내륙지역수체 탐지 정형섭 (서울시립대학교) |
16:15-16:30 | 질의 응답 |
15:00-15:15 | SAR K-ARD 모듈 개발을 통한 국가 위성 영상 표준화 방안 하수빈 (부경대학교) |
15:15-15:30 | 대기 지연효과 보정을 통한 중저해상도 SAR 영상의 기하 왜곡 개선 조경훈 (부경대학교) |
15:30-15:45 | 위성 분석 준비 자료의 필요성 및 역할과 국가 위성 데이터 효율적 활용 방안 이진형 (부경대학교) |
15:45-16:30 | 질의 응답 |
16:50-17:05 | SAR위성을 활용한 수변 피복 분류 및 부유물 탐지 기법 연구 이명진 (한국환경연구원) |
17:05-17:20 | 영상레이더 위상간섭기법을 이용한 수자원시설물 시계열 지표 변위 관측 정성우 (부산대학교) |
17:20-17:35 | 수자원위성 활용 토양수분 및 가뭄지수 산정 기술 개발 하수빈 (부경대학교) |
17:35-17:50 | 지상기반 레이더 간섭기법을 이용한 댐 사면 관측 및 대기보정 김여진 (부산대학교) |
17:50-18:05 | 수자원 위성 활용 산출물 고도화를 위한 딥러닝 기반 초해상화 기술 연구 이어루 (서울시립대학교) |
18:05-18:20 | 질의 응답 |
09:00-09:15 | GEMS 초분광 영상의 Bad Pixel 복원 방법 이원진 (국립환경과학원) |
09:15-09:30 | 지상 라이다 네트워크 및 정지궤도 환경위성 데이터 비교를 통한 에어로졸 고도 분포 데이터 정확도 향상 노영민 (부경대학교) |
09:30-09:45 | GEMS 에어로졸 고도 정확도 개선을 위한 딥러닝 기법 적용 연구(Preliminary Results) 정형섭 (서울시립대학교) |
09:45-10:00 | GEMS 눈/구름 산출물 개선을 위한 딥러닝 기법 적용 연구 유진우 (서울시립대학교) |
10:00-10:15 |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정지궤도 환경위성(GEMS) 황사산출물 개선 연구 공성현 (서울시립대학교) |
10:15-10:30 | 질의 응답 |
10:45-11:00 | [Invited Talk] New SAR Missions from US and China Will Enhance Earth Monitoring Zhong Lu (China University of Mining and Technology) |
11:00-11:15 | [Invited Talk] Experimental Study of SAR Signal Penetration Xiaoli Ding (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) |
11:15-11:30 | [Invited Talk] Detection and Retrieval of DEM Residuals for an Efficient InSAR Time Series Processing Lei Zhang (Tongji University) |
11:30-11:45 | [Invited Talk] Estimation of Surface Height Changes and Multi-dimensional Deformation Time Series with Multitemporal SAR Datasets Chao-ying Zhao (Chang’an University) |
11:45-12:00 | 학습데이터 및 모델구조의 최적화를 통한 변형된 U-Net을 활용한 위상 언래핑 백원경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2:00-12:15 | 질의 응답 |
13:30-13:45 | [초청] 항공수심라이다 시스템을 활용한 연안 디지털트윈 고도화 이재빈 (목포대학교) |
13:45-14:00 | 다중센싱을 활용한 갯벌 공간정보 변화 모니터링 허현수 (㈜지오스토리) |
14:00-14:15 | 비지도 학습 기반 항공수심라이다 과대오차 제거 파이프라인 이재왕 (한국해양대학교) |
14:15-14:30 | 윈도우 기반 PointNet을 활용한 항공수심 라이다 점군의 해저 분할 송아람 (경북대학교) |
14:30-14:45 | 초분광 센서를 활용한 갯벌 탁도 추정 모델 개발 정재훈 (경상국립대학교) |
14:45-15:00 | 질의 응답 |
15:15-15:30 | 광학 위성영상을 이용한 갯벌 면적 및 지형 주제도 제작 김근용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5:30-16:00 | [초청] Sedimentology, morphology, and morphodynamics of Korean tidal flats 최경식 (서울대학교) |
16:00-16:30 | [초청] 초청 강연 전승수 (전남대학교) |
16:30-16:45 | 질의 응답 |
09:00-09:30 | [초청] 탄소흡수원으로서 습지의 가치와 공간정보 활용 방안 김기동 (국립생태원) |
09:30-09:45 | 내륙습지 탄소흡수원 탐지를 위한 초거대 AI 학습 데이터 구축 봉진식 (㈜올포랜드) |
09:45-10:00 | 자기지도학습 기반 호소 클로로필 농도 추정 정봉석 (한국환경연구원) |
10:00-10:30 | 질의 응답 |
10:45-11:00 | 대기오염 배출원 공간 분포 데이터 사업 소개 및 데이터 구축 결과 한근혁 (네이버시스템㈜) |
11:00-11:15 | 대기오염 배출원 공간 분포 데이터 구축을 위한 AI 모델 적용 공성현 (서울시립대학교) |
11:15-11:30 | 대기질과 토지이용/피복과의 관계 분석 -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근한 (한국환경연구원) |
11:30-11:45 | 질의 응답 |
13:30-13:45 | EcoBank의 생태 조사·연구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접근법: SWOT 분석을 통한 데이터 표준화 전략 윤성수 (국립생태원) |
13:45-14:00 | 우리나라 하구습지의 식생분포 특성 추연수 (국립생태원) |
14:00-14:15 | 노란잔산잠자리(Macromia daimoji Okumura, 1949)의 서식지 특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분포 예측 권순직 (㈜애일 ) |
14:15-14:30 | 서·남해안 하구역에 위치한 습지보호지역 4개소의 곤충상 분석 원민혁 (국립생태원) |
14:30-14:45 | 종분포모형을 활용한 미래 양서·파충류 종보전지수 변화 분석 신만석 (국립생태원) |
14:45-15:00 | 질의 응답 |
15:15-15:30 | 인공위성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백두산 화산활동 감시 정형섭 (서울시립대학교) |
15:30-15:45 | 인공위성 영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백두산 시계열 지표변위 관측 박성천 (부산대학교) |
15:45-16:00 | Sentinel-1 간섭계를 이용한 백두산 마그마 모델링 및 시계열 누적 변화량 분석 이어루 (서울시립대학교) |
16:00-16:45 | 질의 응답 |
09:00-09:15 | 여름철 보퍼트 해역에서의 북극 수괴 분류 및 분석 김광모 (부산대학교) |
09:15-09:30 | 기계학습 기반 지표면온도 상세화를 통한 도시 인구 변화와 열환경 분석 김영석 (울산과학기술원) |
09:30-09:45 |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한 서울시 홍수 취약성도 분석 정준혁 (서울시립대학교) |
09:45-10:00 | 정지궤도 환경위성탑재체 (GEMS) 자료 기반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추정된 한반도 지역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의 일변화 특성 박선영 (부경대학교) |
10:00-10:15 | 글로벌 고해상도 메탄 플룸 모니터링: 초분광 기기를 활용한 자동화된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양세영 (울산과학기술원) |
10:15-10:30 | TROPOMI 데이터와 기계학습 기반의 near-surface methane mixing ratio 분포 추정 이다교 (부경대학교) |
10:45-11:00 | On the evaluation of wave model performance in space-time extreme wave analysis during several extreme events in the Korea adjacent waters Faizal Ade Rahmahuddin Abdullah (UST) |
11:00-11:15 | 물리지식기반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시간별 해수면온도 자료 생산 정시훈 (울산과학기술원) |
11:15-11:30 | GOCI-II를 이용한 여름 한반도 연안 특화 염분 산출 알고리즘 개발 양현진 (부산대학교) |
11:30-11:45 | 딥러닝을 활용한 강 주변 해역의 표층 염분 준 실시간 보간 김소현 (울산과학기술원) |
11:45-12:00 | 실시간 인구밀집 정보와 복합적 요인을 고려한 한국형 산불 위험 지수 성태준 (울산과학기술원) |
12:00-12:15 | 질의 응답 |
13:30-13:45 | 공간정보 업무 효율화를 위한 생성형AI의 즉각적인 활용 방법 - 어시웍스 김태영 (㈜인공지능팩토리) |
13:45-14:00 | 점 라벨과 사전학습된 이미지 모델을 사용한 의사 분할 라벨 생성 기법 윤용선 (㈜카탈로닉스) |
14:00-14:15 | 다중센서 고해상도 위성영상 상대기하보정을 위한 자기지도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김태헌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
14:15-14:30 | 고해상도 위성 및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인천 도서지역 해안쓰레기 변화 분석: 자월도 및 먹도를 대상으로 전현덕 (㈜유에스티21) |
14:30-15:00 | 질의 응답 |
15:15-15:30 | 다중시기 위성영상에 적용 가능한 갯벌 표층 퇴적상 탐지 기법 연구 권동재 (연세대학교) |
15:30-15:45 | GOCI 및 GOCI-II 기반 동중국해 Sargassum 생체량 추정 신지선 (부산대학교) |
15:45-16:00 | 드론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갯벌 대형저서동물 서식굴 객체탐지 고도화 서재환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6:00-16:15 | 랜덤 포레스트 기반 갯벌 퇴적구조 분류 및 퇴적상 분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6:15-16:30 | 질의 응답 |
09:00-09:15 | 온실가스 지중저장 적지 탐사 데이터 이사로 (한국지질자원연구원) |
09:15-09:30 | 기반암 시추 시료를 활용한 암반등급 분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한수연 (한국지질자원연구원) |
09:30-09:45 | 초거대AI 확산 생태계 조성 사업 "자연발생 석면 탐지데이터" 소개 한상학 (㈜선영종합엔지니어링) |
09:45-10:00 |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구과학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김주섭 (전북대학교) |
10:00-10:15 | 자연발생 석면 탐지 데이터의 구축 유재형 (충남대학교) |
10:15-10:30 | 질의 응답 |
10:45-11:00 | 정지궤도 환경위성(천리안 2B호) 활용현황 및 발전 방향 이용미 (국립환경과학원) |
11:00-11:15 | 정지궤도 환경위성(GEMS)를 이용한 인공지능 적용 소개 및 향후 발전 방향 이원진 (국립환경과학원) |
11:15-11:30 | 천리안 해양위성 시리즈(GOCI-I, II)의 활용경험을 바탕으로 한 차세대 해양탑재체 개발 방향 안재현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1:30-11:45 | GOCI에서 GOCI-III로: 정지궤도 해색위성 30년 기후데이터 구축 박명숙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1:45-12:15 | 질의 응답 |
15:15-15:30 | GEMS 신규산출물 개발 개요 김준 (연세대학교) |
15:30-15:45 | GEMS 신규산출물 현업화 현황 차혜지 (연세대학교) |
15:45-16:45 | 질의 응답 |
10:45-11:00 | 디지털 트윈 기반 순천만 습지조성 시뮬레이션 소개 김근용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1:00-11:15 | 습지조성 디지털 트윈 및 SaaS 소개 고형진 (㈜이지스) |
11:15-11:30 | 습지조성 예측 모델 소개 이황기 (㈜해안해양기술) |
11:30-11:45 |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al Data for the Advancement of Digital Twin in “S” shape tidal flats water channel: Suncheon Bay, South Korea, 2024 이준호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11:45-12:15 | 질의 응답 |
GeoAI데이터 활용 - 국방분야 | 저고도용 다중대역 SAR 기반 실시간 영상화 시스템 개발 김용민 (국방과학연구소) |
GeoAI데이터 활용 - 생태분야 | 생태모방지식 서비스 플랫폼 구축 현황 및 활용 김고은 (국립생태원) |
GeoAI데이터 활용 - 재해분야 | 아리랑위성 5호 영상 기반 지진 영향 분석 실험 이승재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
GeoAI데이터 활용 - 지질분야 | 염전 건설에 따른 사취의 발달: 증도 우전갯벌 사례 류희경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
GeoAI데이터 활용 - 항공우주분야 | 다중위성자료 융합을 통한 지표반사도 산출 알고리즘 연구 및 기술 동향 한도희 (전북대학교) |
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위성영상 부가처리 체계 구축 이광재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 |
GeoAI데이터 활용 - 해양 | 위성자료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남해의 Chlorophyll-a 예측 연구 김희준 (㈜유에스티21) |
GOCI와 GOCI-II를 활용한 동중국해 저염수 모니터링 장은나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 | |
현장조사 및 다종위성 자료 융합/활용을 통한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 조혜연 (㈜유에스티21) | |
양식장 환경 관리를 위한 현장 관측 및 다종 위성 데이터 활용 연구 김보경 (㈜유에스티21) | |
다종위성을 이용한 항만활용지수의 개발 전호군 (㈜유에스티21) | |
GeoAI데이터 활용 - 환경 | GOCI 위성, 지상수질측정자료 그리고 딥러닝을 이용한 새만금유역 수질 시공간 지도 산출 및 평가 연구: 2011~2020 이예진 (전북대학교) |
초분광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하천수의 화학물질 오염 탐지 이경은 (충남대학교) | |
센티널-2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수 융합형 클로로필-a 탐지모델 이신우 (충남대학교) | |
생태모방지식의 체계화 및 효율적 제공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분류·검색 알고리즘 설계 박정은 (국립생태원) | |
Landsat 영상을 이용한 IUCN GET 분류 박선영 (서울과학기술대학교) | |
GeoAI모델 개발 및 분석 - 데이터 분할 | 다목적실용위성 대기상단반사도와 DeeplabV3+ 모델을 이용한 구름탐지 기술 개선 및 평가 김수환 (전북대학교) |
GeoAI모델 개발 및 분석 - 데이터 퓨전 | 다중센서 위성영상에서의 객체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한 탐지 박스 융합 알고리즘 적용 연구 윤득렬 (국방과학연구소) |
영역-점 변환 회귀 크리깅을 이용한 KOMPSAT-3A 전정색 및 적외선 영상 융합 김예슬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