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Navigation
Skip to contents

GeoAI데이터학회

D-3 Today 2025.07.01

Daily program

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 장기 DB 구축
July 03 (Thu) 09:00-10:30 Ballroom 1
서재환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
09:00-09:15 국가 갯벌 생태조사 현황과 발전 방향 제시 김근용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
09:15-09:30 Factors Constraining the Morphodynamics of Tidal Meanders in Non-Vegetated Tidal Flats Under a Monsoon Climate 정회수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
09:30-09:45 우리나라 갯벌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생체량/생산량 분포 유재원 (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)
09:45-10:00 서해안 염생식물의 군락의 생산성, 토양저장과 블루카본 역할 유영한 (공주대학교)
10:00-10:15 갯벌 실태조사의 정책 연계성 확보를 위한 체계 고도화 방안 위진희 (㈜해양수산정책기술연구소)
10:15-10:30 질의 응답
인공위성과 해양모델을 활용한 무인도서 활용방안 연구 (Closed)
July 03 (Thu) 14:00-15:30 Ballroom 1
김태호 (㈜유에스티21)
해양원격탐사 기술 기반 해양현업대응 활용연구 (Closed)
July 03 (Thu) 16:00-17:30 Ballroom 1
김태호 (㈜유에스티21)
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
July 03 (Thu) 09:00-10:30 Ballroom 2
이광재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
09:00-09:15 중복 모델 기반 학습자료 정제에 의한 토지피복 분할모델의 성능개선에 대한 연구 장재영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
09:15-09:30 어시웍스 기반의 MCP·A2A 지원 위성정보 활용 에이전트 생태계 구축 방안 김태영 (㈜인공지능팩토리)
09:30-09:45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RPC 보정을 위한 템플릿 중심점 정합 모델 개발 허재원 (서울과학기술대학교)
09:45-10:00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SAR 위성영상의 광학영상 NDVI 변형 문영란 (충북대학교)
10:00-10:30 질의 응답
생태 분야 디지털 혁신을 위한 빅데이터(플랫폼) 구축과 활용
July 03 (Thu) 11:00-12:30 Ballroom 2
권용수 (국립생태원)
11:00-11:15 EcoBank의 진화: 생태빅데이터 서비스 현황과 미래 전략 윤성수 (국립생태원)
11:15-11:30 최신 AI 기술을 적용한 생태모방지식 체계화 및 검색 시스템 구축 심승우 (국립생태원)
11:30-11:45 「생태계 기후대응 통합정보관리시스템」 추진 성과 및 활용 방안 원호연 (국립생태원)
11:45-12:00 자연환경종합 GIS-DB 기반 생태·자연도 구축 및 활용 박현수 (국립생태원)
12:00-12:30 질의 응답
K-ARD SAR 파일럿 SW 개발 및 중해상도 위성 품질평가용 데이터셋 구축 (Closed)
July 03 (Thu) 14:00-15:30 Ballroom 2
박우성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
14:00-14:30 Standardization of National Satellite Image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SAR-based K-ARD Module 하수빈 (부경대학교)
14:30-15:00 Development of an Atmospheric Polarization Correction Model for Medium to Low Resolution SAR 김예영 (부경대학교)
15:00-15:30 질의 응답
흡수원 부문 탄소공간지도 구축을 위한 협의체 (Closed)
July 03 (Thu) 16:00-17:30 Ballroom 2
김근한 (한국환경연구원)
16:00-17:00 정주지 내 탄소흡수원 추정을 위한 GeoAI 기반 멀티모달 시멘틱 세그멘테이션 프레임워크 (중간결과) 김동범 (한국환경연구원)
17:00-17:30 질의 응답
빅데이터/기계학습 기반의 자연재해(홍수, 산사태) 공간 예측 적용 최적기법 개발 전문가 세미나 (Closed)
July 03 (Thu) 09:00-10:30 Ballroom 3
이사로 (한국지질자원연구원)
통합 연구데이터 리포지터리 및 스마트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개발 진도관리 워크샵 (Closed)
July 03 (Thu) 14:00-15:30 Ballroom 3
한종규 (한국지질자원연구원)
GOCI-II 활용 확대 방안 연구 (Closed)
July 03 (Thu) 16:00-17:30 Ballroom 3
최종국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
정지궤도 환경위성 활용기술 개발
July 03 (Thu) 09:00-10:30 Drawing 1
정형섭 (서울시립대학교), 백원경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
09:00-09:15 딥러닝 기반 정지궤도 환경위성(GEMS) 적설 탐지 맵 제작 및 정확도 향상 연구 유진우 (서울시립대학교)
09:15-09:30 정지궤도 환경위성 산출 에어로졸 특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지상 라이다 네트워크 활용 가능성 연구 노영민 (부경대학교)
09:30-09:45 정지궤도 환경위성(GEMS) 황사 산출물 개선을 위한 딥러닝 기법 적용 연구 공성현 (서울시립대학교)
09:45-10:00 항공원격측정장비(EMSA)의 영상위치보정(INR) 정준혁 (서울시립대학교)
10:00-10:30 질의 응답
지속가능한 위성활용시스템 개발: 국제협력 (Closed)
July 03 (Thu) 11:00-12:30 Drawing 1
김근용 (한국해양과학기술원)
극지 GeoAI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 및 빅데이터 연구 (Closed)
July 03 (Thu) 14:00-15:30 Drawing 1
김현철 (극지연구소)
14:00-14:15 그린란드 캉가루수아크 지역의 피복 모니터링을 위한 딥러닝 분류 기법 연구 이성재 (극지연구소)
14:15-14:30 북극 환경 연구에서의 영상레이더(SAR) 활용 현황과 발전 방향 김승희 (극지연구소)
14:30-14:45 2025년 한국극지데이터센터 운영 현황 김고흥 (극지연구소)
14:45-15:00 무인기 초분광 영상 기반 극지 지역 식생의 분광학적 특성 분석 정용식 (극지연구소)
15:00-15:30 질의 응답
다중 위성 영상 통합판독 개념 구현을 위한 GeoAI 데이터 활용 방안 (Closed)
July 03 (Thu) 16:00-17:30 Drawing 1
강도근 (국방과학연구소)
16:00-16:15 AI기반 대용량 이미지 판독 및 보고서 자동화 기술 적용 가능성 분석 강도근 (국방과학연구소)
16:15-16:30 광학위성영상 자동영상정합 오차 분석을 위한 기준점 선정 및 오매칭 제거 방법 고진우 (국방과학연구소)
16:30-16:45 다중 위성영상 판독/분석을 위한 시스템 개념 고찰 성현승 (국방과학연구소)
16:45-17:00 다중/다수 위성 운용 및 대용량의 다수 위성영상 판독 개념 고찰 김석봉 (국방과학연구소)
17:00-17:15 시계열 위성영상 정합 성능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정합 알고리즘 및 학습 방법 강재웅 (국방과학연구소)
17:15-17:30 질의 응답
우즈베키스탄 지질자원 GIS DB 구축 현황 검토 (Closed)
July 03 (Thu) 14:00-15:30 Event Sweet
이홍진 (한국지질자원연구원)
우즈베키스탄 지질자원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현황 검토 (Closed)
July 03 (Thu) 16:00-17:30 Event Sweet
한수연 (한국지질자원연구원)

Hosted by (사)GeoAI데이터학회, GeoAI지질데이터학회, GeoAI해양데이터학회, GeoAI극지데이터학회, GeoAI위성정보데이터학회, GeoAI수자원데이터학회, GeoAI환경데이터학회
주소: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56길 8-13(수서타워) 816호
  • 사업자등록번호: 780-82-00418
  • 전화번호: 02-6677-5682
  • 이메일: gaidas@gaidas.org

Copyrights 2025 © (사)GeoAI데이터학회